囊中之錐:낭중지추
습지와 생물다양성 본문
습지와새들의친구
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.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. 단, 게임방,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
wbknd.or.kr
http://www.birdskorea.or.kr/Birds/BK-Birds.shtml
자연 습지가 있는 한강하구
미래를 꿈꾸는 해양문고 17권. 하구 둑 없이 한강과 황해가 만나는 곳, 한강하구에 깃들어 사는 생명과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. 저자들은 수도 서울의 젖줄이자 이 땅의 생명줄이라고도 하
www.aladin.co.kr
제주섬의 보물지도
유네스코 자연유산 3관왕에 빛나는 제주의 생물다양성을 알기 쉽게 소개한다.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의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, 흥미로운 주제들을 모아 총 3장으로 구성했다.
www.aladin.co.kr
습지생태학
개정판은 초판 이후의 후속 연구 성과를 담은, 습지생태 이론서이자 더욱 충실한 습지 교과서다. 습지 보전과 복원, 현명한 이용과 생태계서비스,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등 융복합적인 응용 습
www.aladin.co.kr
- 습지 생태계 평가
http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92088
설악산 생태여행 - YES24
국립공원이며 유네스코가 지정한 생물권보전지역인 설악산의 아름다움과 생태계의 가치를 설명한 안내서.컬러사진과 그림 설명을 통해 설악산의 동,식물 생태를 배울수 있고 여행코스를 따라
www.yes24.com
공사창립특집 인간과 습지 2부작 - KBS
VOD 페이지
vod.kbs.co.kr
- KBS 인간과 습지
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
제주고사리삼 Mankyua chejuense B.-Y. Sun, M. H. Kim & C. H. Kim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식물 바로가기
species.nibr.go.kr
질문들
- 환경, 자연, 생태란 무엇인가?
- 탐조는 왜 하는가?
- 새가 살아가는 환경이란?
- 환경 교육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? 지속 가능한, 생물다양성...
- 저수지와 논(습지)
- 우리동네 생태계 특징과 생물상?
'숨쉬는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잣까마귀를 향해서] 힘없는 탐조에의 결심 (0) | 2024.03.17 |
---|---|
기생벌 관련 (0) | 2022.08.29 |
겨울 탐조-가창오리, 큰고니 등 (0) | 2022.02.14 |
뿌리혹선충 발생 (0) | 2020.07.31 |
계요등유리나방(추정) (0) | 2020.06.18 |